식이요법시 항경련제 복용과 식사계획 조정 관련 문제

By | 2020년 9월 26일

약물 복용 관련 문제
항경련제의 감소는 케톤생성식이요법의 첫 번째 목표 중의 하나다. 케톤생성식이요법을 하는 많은 아이는 항경련제 사용을 중단할 수 있고 다시 약물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케톤생성식이요법을 하는 아이에게 있어서 약용량을 올리지 않더라도 약물의 혈중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식이요법으로 인한 체내 약물 대사의 변화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케톤생성식이요법 초기 단계에서는 약물의 혈중 농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만약 아이가 잘 지내고 발작을 하지 않는다면 다른 약물을 점차 줄여나갈 수 있다. 만약에 아이가 안정되어 약물을 체계적으로 감량하는 중에 발작이 재발했다면, 우리는 그 이유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식이요법 기간에 항경련제의 용량을 줄이거나 끊는 방법은, 식이요법의 다른 요소들과 감소시킨 약물 용량의 효과와 분리해야 한다.

식사계획 미세 조정 및 관련 문제들
식사계획 자체가 미세 조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와 같은 물리적인 이유는 식사계획 조정을 필요로 하거나 맛에 대한 문제일 수도 있다.
식이요법을 시작한 후 부모는 자기 아이를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배우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초콜릿 맛 아이스 사탕을 좋아하는 아이는 매일 점심과 저녁에 계산된 초콜릿 맛 아이스 사탕을 먹어야 할 필요성이 있을지도 모르고, 양배추 겉절이에 혐오감을 나타내는 아이에게 셀러리나 사과 소스를 넣은 형태를 바꾼 핫도그 식사가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단 부모가 저울을 사용하고 식단을 짜는 방법을 배우고, 식이요법으로 인한 즐거움이 더하면, 아이들이 식사에 대한 즐거움이나 가족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의 첨가는 케톤생성비의 수치적인 한계, 단백질 요구량 등을 위해 제한을 받게 된다.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은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단백질은 신체의 성장을 위하여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케톤생성식이요법의 목표는 발작의 억제이다. 이 제한된 목표에서 식사는 아이가 함께해 나갈 수 있을 정도로 쉽게 만들어져야 한다. 부모는 식이요법에 포함하고 싶은 모든 종류의 식품에, 특히 시판용 식품들에 대하여 주의 깊게 조사하여야 하며, 단백질과 지방 및 탄수화물의 성분이 분명하게 명시되지 않은 음식은 피해야 한다. 다이어트 식품이나 추잉검과 같은 무설탕 식품은 부적당한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을지도 모른다.